컴플라이언스는 단지 법률과 규정을 준수하는 것인가?
기업이 관련 법규들을 알고 이를 준수하는 것은 컴플라이언스의 중요한 부분이다. 기업을 대내외적으로 보호하려면 임직원들이 회사와 관련된 법률적 의무를 준수하게 하는, 상세하고 강력한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기업 임직원들은 어떤 상황에서도 회사 내부 규정뿐만 아니라 회사에 적용되는 정부, 지자체의 법률과 규정을 알고 있어야 한다. 법규를 몰랐다는 변명은 허용되지 않는다.
컴플라이언스 위반 사례가 생기면 기업이나 임직원이 법규를 위한 것을 몰랐다고 주장해도 민형사상의 책임을 면할 수는 없다. 사전에 법률과 규정을 알게 하고 지속적으로 따르게 하는 것이 컴플라이언스의 역할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법규를 알고 이를 준수하는 것이 컴플라이언스의 중요한 부분이긴 하지만 컴플라이언스는 법률 준수 이상을 의미한다.
컴플라이언스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인가?
진정한 컴플라이언스는 법률 준수보다 훨씬 더 깊이 들어간다. 문제를 겪지 않으려고 법규를 준수하는 수준에만 머무르는 것은 완전한 컴플라이언스가 아니다. 완전한 컴플라이언스는 법규 준수와 윤리를 성공적으로 혼합하는 것이다. 기업은 성과를 목표로 하는 조직이지만 컴플라이언스는 성과 이상의 윤리적 가치를 요구한다.
그러므로 진정한 컴플라이언스는 기업의 최고위층이 윤리적 기조를 유지하고 컴플라이언스의 가치를 믿으며 윤리적 행위를 지속으로 강화시켜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따르게 하는 것이다. 윤리와 윤리적 행위는 기업의 비용 지출만으로 가능하지 않다. 비용 못지않게 깊은 열정을 필요로 하며 시간과 노력도 필요하다.
컴플라이언스는 결국 사람의 문제이며 윤리와 법규를 준수하는 기업 문화에서 개인의 인테그리티와 성품은 윤리와 컴플라이언스의 핵심 요소다. 인테그리티와 정직 같은 성품을 프로그램으로 자동화할 수는 없다. 사람은 완벽한 존재가 아니며 때로는 유혹에 흔들리기 때문에 정도에 벗어나지 않도록 윤리 프로그램과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을 통하여 윤리적 행위의 중요성을 계속해서 배양하고 강화하며 반복할 필요가 있다. 진정한 컴플라이언스는 기업 공동체 내부에 자발적인 윤리 문화가 깊게 뿌리내리는 것이다.
©yeonamsa 상기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연암사에 있습니다. 무단 전재, 복제는 문서상 허락 없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 문의 ethicskr@gmail.com
[윤리준법경영의 성공전략 컴플라이언스]
예스24 https://bit.ly/3hB2h3h
알라딘 https://bit.ly/3Cir2cF
교보문고 https://bit.ly/3CewQ6I
인터파크 https://bit.ly/3kbtQ4R
[컴플라이언스 매니지먼트]
예스24 https://bit.ly/3nH7D0I
알라딘 https://bit.ly/3khHJic
교보문고 https://bit.ly/3Etr42W
인터파크 https://bit.ly/3AnUbT2
[거버넌스 리스크관리 컴플라이언스]
예스24 https://bit.ly/3tx9s1a
알라딘 https://bit.ly/3hnxZ49
교보문고 https://bit.ly/3z47SFl
인터파크 https://bit.ly/3z3hYX5